<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공개 2주 만에 1위 등극
4월 4주차 ‘왓챠피디아 HOT 10’
•
JTBC <천국보다 아름다운>, SBS <귀궁> 등 신규 드라마 랭킹 진입
•
강하늘 X 유해진 X 박해준 주연 영화 <야당>, 흥행 힘입어 3위로 순위 급상승
tvN 토일드라마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이 공개 2주 만에 인기 콘텐츠 랭킹 1위에 등극하며 화제성을 입증했다.
왓챠는 25일 4월 4주차(4월 17일~4월 23일) ‘왓챠피디아 HOT 10’을 공개했다. 왓챠피디아 HOT 10은 국내 최대의 평가 데이터를 보유한 왓챠피디아의 별점, 검색량, 보고싶어요, 코멘트 수 등의 지표와 국내 주요 포털 트렌드 지표를 활용해 지난 한 주간 대중들의 기대감과 만족감을 반영한 종합 순위이다. 극장에서 상영 중인 개봉 영화를 비롯해 TV 방영 프로그램, 국내 OTT에서 서비스 중인 모든 콘텐츠가 대상이며, 순위는 매주 업데이트된다.
4월 4주차 1위인 tvN 토일드라마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은 전주 대비 2계단 상승하며 정상에 올랐다.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은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의 스핀오프로, 의사를 꿈꾸는 레지던트들이 입덕부정기를 거쳐 성장해 가는 과정을 담는다. 이제 막 산부인과 의사가 된 레지던트 오이영(고윤정), 표남경(신시아), 엄재일(강유석), 김사비(한예지), 레지던트 최고참 구도원(정준원)을 중심으로 스토리가 전개되는 드라마로, 매화 시청률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위는 김혜자, 손석구 주연의 JTBC 토일드라마 <천국보다 아름다운>으로, 19일 첫 방송 후 곧장 상위권으로 진입했다. <천국보다 아름다운>은 <눈이 부시게>의 김석윤 감독과 이남규, 김수진 작가가 다시 의기투합한 작품으로, 80세 모습으로 천국에 도착한 이해숙(김혜자)이 30대 모습으로 젊어진 남편 고낙준(손석구)과 재회하면서 벌어지는 현생 초월 로맨스를 그린다. 죽음이라는 인생의 끝에서 제2의 삶을 시작하는 주인공의 모습이 유쾌한 웃음과 따뜻한 감동을 자아내 호평받고 있다.
3위에 오른 강하늘, 유해진, 박해준 주연의 영화 <야당>은 지난주보다 무려 7계단이나 순위가 상승하며 눈길을 끌었다. <야당>은 대한민국 마약판을 설계하는 브로커 ‘야당’, 더 높은 곳에 오르려는 ‘검사’, 마약 범죄 소탕에 모든 것을 건 ‘형사’가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엮이며 펼쳐지는 범죄 액션 영화다. 코로나19 이후 개봉한 청소년 관람 불가 등급 한국 영화 중 최고 흥행 기록을 경신한 데 이어, 최단기간에 100만 관객을 돌파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4위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로, 7주 연속으로 ‘왓챠피디아 HOT 10’ 랭킹에 진입했다. 이어서 육성재, 김지연 주연의 SBS 금토드라마 <귀궁>이 5위로 신규 진입했다. 18일 첫 방송한 <귀궁>은 영매의 운명을 거부하는 무녀 여리와 여리의 첫사랑 윤갑의 몸에 갇힌 이무기 강철이가 왕가에 원한을 품은 팔척귀와 맞닥뜨리며 몸과 혼이 단단히 꼬여버리는 육신 쟁탈 판타지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다.
6~8위는 차례대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악연>, 이병헌 주연의 영화 <승부>, 공명, 김민하 주연의 티빙 오리지널 시리즈 <내가 죽기 일주일 전>에게 돌아갔다. <내가 죽기 일주일 전>은 17일 마지막 에피소드가 공개되며 재진입에 성공했다.
마지막 9위에는 영화 <콘클라베>, 10위에는 기안84, 방탄소년단 진, 지예은이 출연하는 넷플릭스 예능 <대환장 기안장>이 이름을 올렸다. <콘클라베>는 21일 프란치스코 교황의 선종으로 검색량이 급증해 다시 랭킹에 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왓챠피디아는 2011년 서비스를 시작한 콘텐츠 추천⋅평가 서비스다. 머신러닝과 AI 기술로 고도화된 개인화 추천 엔진을 통해 내 취향에 최적화된 맞춤 콘텐츠 큐레이션을 추천받고, 보고 싶거나 좋아하는 콘텐츠를 아카이빙할 수 있어 콘텐츠 감상을 위한 필수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선호하는 배우와 감독 등을 기록할 수 있는 ‘인물 좋아요’ 기능과 함께, 날짜별로 평가한 콘텐츠가 기록되는 ‘캘린더’ 기능도 있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였다. 현재까지 왓챠피디아의 여러 콘텐츠 카테고리에 쌓인 별점 평가 데이터 수는 약 7억 2천만여개에 이른다.